비 오는 날에도 태극기를 게양해야 할까요? 일반 게양과 조기 게양의 차이, 정확한 게양 위치와 시간까지 태극기 게양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태극기 다는 날과 게양 방법, 일반 게양과 조기 게양까지 정리!
국경일이나 기념일이 되면 아파트 베란다나 단독주택 대문 옆에 태극기가 하나둘 걸립니다. 어떤 집은 크고 선명한 태극기를, 어떤 집은 살짝 색이 바랜 태극기를 걸어두기도 하죠. 특히 아이들과 함께 사는 가정이라면, 이런 장면이 자연스러운 '나라 사랑' 교육이 되곤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기념일이 되었는데… 비가 온다면?
과연 비 오는 날에도 태극기를 달아야 할까요?
그리고 언제 조기를 게양해야 하고, 어떤 날에 정상 게양을 해야 하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태극기 다는 날, 게양 방법, 조기 게양과 비 오는 날의 대처법까지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태극기를 다는 날은 언제일까?
법률상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르면 태극기를 게양해야 하는 국경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일절 (3월 1일)
- 제헌절 (7월 17일)
- 광복절 (8월 15일)
- 개천절 (10월 3일)
- 한글날 (10월 9일)
또한 아래의 날도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 현충일 (6월 6일) → 조기(弔旗) 게양
- 국군의 날 (10월 1일)
- 기타 정부 지정일 (예: 국가 애도의 날, 선거일 등)
이 외에도 정부가 특정 사건이나 인물을 추모하거나 국가적 의미가 있는 날로 지정한 경우, 태극기 게양이 권장됩니다.
일반 게양과 조기 게양, 어떻게 구분할까?
1. 일반 게양
태극기를 깃봉 끝까지 올려 깃면과 깃봉 사이의 간격 없이 설치하는 것이 일반 게양입니다.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제헌절, 한글날 등 축하와 기념의 의미를 지닌 국경일에는 모두 일반 게양을 합니다.
2. 조기 게양
조기는 애도와 추모를 상징합니다.
깃봉 끝에서 태극기를 깃면만큼 내려 설치하는데요, 대표적인 날이 바로 **현충일(6월 6일)**입니다.
이외에도 **국가적인 재난이나 애도 기간(예: 대형 참사, 전직 대통령 서거 시)**에는 정부 지침에 따라 조기를 게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이 깃봉이 길지 않을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뼘정도 내려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태극기 다는 위치와 방법
1. 단독주택 & 빌라
- 대문 밖에서 보았을 때 중앙 또는 왼쪽에 태극기를 설치합니다.
2. 아파트
- 대부분 베란다 왼쪽에 **작은 홈(고정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니 그곳에 설치하면 됩니다.
3. 건물 (상가, 관공서 등)
- 지상 또는 옥상에서 중앙 또는 출입구 기준 왼쪽에 설치합니다.
- 차양이 있다면 출입구 벽면 정중앙이 권장됩니다.
4. 차량
- 차량 전면에서 봤을 때 왼쪽에 부착합니다. 흔히 국방부 차량이나 순직자 운구 차량에 볼 수 있죠.
비 오는 날 태극기 게양 방법은?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비 오는 날에도 태극기를 달 수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태극기가 훼손될 가능성이 있는 악천후일 경우 게양하지 않아도 됩니다."
즉, 폭우, 태풍, 폭설 등으로 태극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면 게양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가벼운 비 정도라면 방수 처리된 태극기를 사용하여 게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행정안전부 공식 안내에서도 태극기의 훼손 우려가 있을 경우 게양하지 않을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TIP. 실외에 게양이 어려운 경우, 실내 창문 안쪽에서 바깥을 향해 태극기를 부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또한 나라를 향한 예우이며, 기후에 대한 합리적인 대처이기도 합니다.
태극기 게양 시간, 알고 계신가요?
- 게양 시작 시간: 오전 7시
- 게양 종료 시간:
- 3월~10월: 오후 6시
- 11월~2월: 오후 5시
물론 관공서나 기업체는 야간 조명이 설치된 경우 24시간 게양도 가능하지만, 일반 가정은 이 시간을 준수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마무리하며
태극기를 단다는 것은 단순한 형식이 아닌, 우리 스스로가 역사와 국가를 기억하고 존중한다는 표현입니다.
특히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면, 기념일마다 태극기를 달며 그 의미를 함께 나누는 시간이 아이에게 살아 있는 역사 교육이 될 수 있겠죠.
비가 조금 오는 날이라 해도, 태극기 게양은 선택이 아닌 자부심의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기념일엔 우리 집도 태극기와 함께 나라 사랑의 마음을 표현해보는 건 어떨까요?
'블로그관련글 및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콘솔 리디렉션 오류? 이렇게 해결하세요! (4) | 2025.06.24 |
---|---|
블로그에 계산식을 넣을 때 어떻게 할까? 수식이 살아있는 콘텐츠 만드는 법! (1) | 2025.06.22 |
SNS에 블로그 글 공유할 때, 소개글은 어디서 나올까? (메타디스크립션 완전 정리) (4) | 2025.06.10 |
블로그 예약 발행 꼭 해야 할까? 효과, 장단점, 문제점까지 솔직 분석 (5) | 2025.06.07 |
초보도 바로 써먹는! 클릭률(CTR) 쭉 올리는 제목 작성법 (2) | 2025.06.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