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수학 공식이나 계산식을 어떻게 넣을 수 있을까요? 티스토리와 네이버 블로그 기준으로 수식 입력법, 수식 이미지 삽입법, LaTeX 활용까지 쉽게 정리해드려요!
블로그에 글을 쓰다 보면 종종 "여기에 계산식 하나만 넣을 수 있다면!" 싶은 순간이 있죠. 수학 문제 풀이를 공유하거나, 엑셀 함수 설명, 혹은 단순한 할인율 계산법까지... 수식은 정보의 신뢰도를 한껏 끌어올리는 요소입니다.
그런데 막상 글에 수식을 넣으려고 하면, 이게 참 골치 아픕니다. 글씨처럼 적자니 모양이 안 예쁘고, 이미지로 넣자니 번거롭고… 도대체 블로그에 계산식은 어떻게 넣는 게 좋을까요?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각각에 맞는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가장 쉬운 방법: 계산식을 텍스트로 입력하기
아주 단순한 계산식이라면, 굳이 복잡하게 만들 필요 없습니다.
위처럼 간단한 산술 표현은 그냥 텍스트로 작성해도 충분합니다.
÷, ×, ±, ≈ 같은 특수기호는 복사해서 붙여 넣거나, 윈도우에서는 Win + . 키를 눌러 이모지/기호 입력창을 띄워서 입력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이렇게 적으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특히 분수, 지수, 제곱근, 괄호식 같은 건 표현이 어렵습니다.
2. 수식 이미지를 만들어서 삽입하기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수식을 이미지로 만들어 넣는 것입니다. 직관적이고 모든 플랫폼에서 호환성도 좋습니다.
📌 수식 이미지 만드는 방법:
- MS Word → ‘수식’ 기능으로 입력 후 캡처
- LaTeX 에디터 (예: overleaf, codecogs.com) → 수식 입력 → 이미지 다운로드
- 캡처 도구 + 폰트 설정 → 보기 좋게 이미지화
예시:
이걸 Word 수식 입력기로 예쁘게 만든 후 캡처해서 이미지로 삽입하면, 훨씬 가독성도 좋고 전문성도 느껴집니다.
3. HTML + CSS로 수식 표현하기 (고급)
조금 더 자유도가 필요하다면 HTML과 CSS를 활용할 수 있어요. 단, 수식이 아주 간단한 경우에만 적합합니다.
이렇게 sup(윗첨자), sub(아랫첨자)을 쓰면 지수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분수나 루트 표현은 어려워서 한계가 있어요.
4. LaTeX로 수식 넣기 (티스토리에서 추천)
전문 수식 표기법인 **LaTeX(레이텍)**을 쓰면, 학술 논문 수준의 수식을 예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티스토리에서는 다음 방법으로 LaTeX 사용 가능:
- codecogs.com 접속
- 원하는 수식 입력 (예: x = \frac{-b \pm \sqrt{b^2 - 4ac}}{2a})
- PNG 또는 SVG로 다운로드
- 티스토리에 이미지 삽입
혹은 아래처럼 이미지 태그를 바로 쓸 수도 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는 이미지 태그 직접 입력이 제한적이라, 다운로드 후 삽입하는 방식으로 하셔야 합니다.
5. 네이버 블로그에서 수식 넣기 팁
네이버는 수식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미지 삽입 방식이 유일하면서도 가장 안정적인 방법이에요.
또는 수식 입력이 많은 글이라면 PDF로 작성 후 첨부하거나 뷰어로 삽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특히 교육 블로그나 입시 관련 콘텐츠에는 효과적입니다.
6. 수식 삽입 시 주의할 점
간단한 산술식 | 텍스트 입력 | 가독성 낮아질 수 있음 |
분수, 지수 등 복잡한 식 | 이미지 삽입 | 너무 작게 만들지 말 것 |
HTML 수식 | sup, sub 태그 | 복잡한 식엔 한계 있음 |
LaTeX | 이미지 생성 및 삽입 | 사용자에겐 생소할 수 있음 |
네이버 블로그 | 이미지 삽입 or PDF | HTML 직접 삽입 불가 |
7. 블로그 수식 표현, 이렇게 하면 돋보입니다!
- 폰트 통일: 이미지 수식과 텍스트가 섞일 경우 글꼴 스타일이 유사하도록 맞추세요.
- 수식 크기 조절: 너무 작으면 안 보이고, 너무 크면 글과 안 어울립니다.
- 중앙 정렬: 수식 이미지는 가급적 가운데 정렬이 보기 좋습니다.
- 대체 텍스트(alt): 이미지에 alt 태그를 넣어주면 SEO에도 도움됩니다!
8. 추천 도구 모음
codecogs | LaTeX 수식 → 이미지 | 바로가기 |
overleaf | 온라인 LaTeX 에디터 | 바로가기 |
Word 수식 | 수식 입력 → 캡처 | MS Word 필요 |
snip (앱) | 수식 인식 캡처툴 메모를 사진으로 찍어서 인식 | https://mathpix.com |
마무리하며: 계산식은 블로그 글의 스파이스!
수식 하나 잘 넣으면, 글의 신뢰도와 전문성이 3단 상승합니다. 특히 교육, 데이터 분석, 재무, 공학 블로그는 수식 삽입이 거의 필수 요소죠. 이미지, HTML, LaTeX 등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서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블로그관련글 및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에서 메일이 왔는데. AFS에서 제한된 액세스 기능(RAF)이 뭐죠? (2) | 2025.06.30 |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콘솔 리디렉션 오류? 이렇게 해결하세요! (3) | 2025.06.24 |
비 오는 날 태극기 달아야 할까? 조기 게양은 언제? (0) | 2025.06.17 |
SNS에 블로그 글 공유할 때, 소개글은 어디서 나올까? (메타디스크립션 완전 정리) (4) | 2025.06.10 |
블로그 예약 발행 꼭 해야 할까? 효과, 장단점, 문제점까지 솔직 분석 (5) | 2025.06.07 |
댓글